Social Media2010. 2. 4. 17:44
요즘 SNS를 이용해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시도가 여러 곳에서 보입니다. 
트위터 이외에도 페이스북, 포스퀘어 등 계정 자체를 활용하는 것 이외에도 디지털 시대의 
'관계'(어찌보면 아날로그의 감성?)를 십분 활용하기 위한 도전이 계속되겠지요^^

댓글이라는 short messages가 원본 링크를 끌고 다니는 모습이 이젠 놀랍지 않습니다. 
원래는 그 반대였죠.
트위터는 거기에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. 

구글과 페이스북까지 url shorten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보면 이 '단문 메시지' 시장은
복잡한 구조와 전망을 안쪽 깊숙히 숨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. 
아직은 얼마든지 발굴이 가능한.

우선 댓글의 작성과 가치는 다음의 두 문장이 압축하고 있습니다. 

1.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 얘기하는 것은 믿을 수 있다. 
2. 공감하는 이야기는 다른 사람에게 들려줄 수 있다. 

제가 생각하는 가치는 '관계'입니다.

몇 번의 모임에서도 밝혔지만, 관계로 묶이지 않은 '무한의 thread' 를 신뢰하긴 어렵습니다. 
트위터마저도 자기 계정과 follow로 묶인 관계를 보여줄 뿐이죠.
설령 거기에 분류와 체계가 없는 것처럼 보여도 말이죠.

옥션에서 최근에 트위터 계정 연동을 통한 판매자와 구매자의 연결을 시도했습니다. 
단 판매자가 먼저 트위터를 사용해야만 구매자와 연결이 되는 상호 관계입니다. 
기존의 상품평이나 상품문의가 구매자의 댓글과 그 댓글에 대한 판매자의 응답이긴 했지만,
실은 일방적인 관계일 뿐이었죠.
그것도 해당 상품의 맨 아래쪽에서만 벌어지는.

트위터는 거기에 '신뢰'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   
판매자의 트위터 계정이 유령 계정이 아니라면요.
아직까지 한국 내 트위터 사용자가 완전히 보편화된 것이 아니라
조금 더 시간이 걸리겠지만요.

물론 SNS를 활용한 하나의 시도로 끝날 수도 있다고 봅니다. 
기존에 '파워셀러'라는 판매자에 대한 평점 제도를 도입했지만, 
이제는 파워셀러가 하도 많아서 신뢰가 더 어려워진 것 처럼요.

또한 영미권의 SNS가 정보를 좇는 흐름이 강하다면,
한국의 SNS는 관계 자체를 좇는 경향이 강해서 SNS 상에서 엮이는 관계를 
어떻게 활용할지는 좀 더 두고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. 

....아놔....

통합전산망 에러 발생해서 2시간 회의 끝나고 이제 왔어요.
더 자세한 이야기는 좀따 하겠습니다^^;;


참, 그런데요.
블로그에서 글을 쓰는 것도 좋은데, 가끔은 구글 독스로 문서정보를 완전히 공개해서 
트위터에서 follow로 엮인 사람들이 모두 참여해도 좋을 것 같아요.
좀 넓은 의견 청취가 필요할 경우에 말이죠^^

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
트위터에 MMS를 이용해 사진을 공유하는 서비스인 SPIC(http://spic.kr)

집들이 준비가 한창이신 날밤 @nalbam 님이 만드셨습니다. ㅎㅎ

스피커 서비스는 간단히 설명드리면 트위터에 사진을 올리는 서비스입니다.
물론 휴대폰에서 MMS 서비스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.

우선 여기서는 데스크탑에서 활용한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. 
스피커
 
~~ 같이 알아볼까요 


1. 스피커에서 트위터 계정을 등록하시면 이메일처럼 개인 주소가 발급됩니다. 
이 주소를 핸드폰에 잘 저장해 두세요~~ 

2. 지오태그기능이 있어 사진의 위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3. 사진을 업로드하면서 업로드 위치정보를 함께 설정합니다.


4. 개인이 올린 지도상에 사진이 업로드 됩니다. (제가 올린 떡국사진 보이시죠~~) 

5. 트위터로 이미지 올린 사진이 스피커URL로 변경되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.


그럼 다음 사용 사례는 휴대폰에서 전송하는 방법을 올려주시면 더 재미있게 이용할 수 있겠죠잉~~ 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날밤님께서 주신 스피커의 자세한 정보입니다.  참조하세요~~

  • 목적
    • 처음 트위터를 시작할 당시 트위터에 사진을 올리는 서비스로는 외국계가 유일 했음
    • 직접 업로드, 이메일 업로드 방식이 있는데. 휴대폰에서 mms 를 이용하여 전송 할수 있음을 알게 되었음
    • 그러나 한글 인코딩의 문제로 외국계 서비스에서는 한글이 제데로 지원 되지 않았음
    • 그래서 직접 서버 세팅, 개발 하여 2009년 6월 베타 서비스 시작
  • 기능
    • 트위터 공유
      • 트위터 api 연동
    • jpeg 섬네일
      • 가로기준 75, 500, 800 사이즈의 섬네일
      • 원본 사진은 삭제
    • 사이트에서 직접 사진 업로드 - http://spic.kr/uploadForm
      • 사진과 내용을 입력
      • 사진 찍은 위치를 지도에서 직접 지정 가능
    • 이메일을 통한 사진 업로드 - http://spic.kr/config
      • 로그인하면 발급되는 주소로 사진을 첨부하여 전송
      • 메일 제목이 트위터에 전송
      • 첨부파일은 하나만 인식
      • 주소포함 글은 트위터에 140 자 이내로 전송
      • 첨부파일이 없을경우 문자만 트위터에 전송
    • API 를 통한 사진 업로드 - http://spic.kr/api
      • 내용, 사진, 위치정보 전송 가능
      • 현재 Tweetie 2 에서 사용 가능 - http://spic.kr/lyWcKt
      • 국산 아이폰 어플인 트윗타임에서 다음 버전에 지원 예정
      • 국산 아이폰 어플인 파랑새 에서 다음 버전에 지원 예정
      •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api client 는 없음
    • 태그
      • 현재 숨겨진 기능
      • 발급된 메일 주소에 문자를 추가하여 구현
      • twid.0000.x@spic.kr : 트위터에 전송 하지 않음
      • twid.0000.y@spic.kr : #yashiktter 태그가 붙음 - http://spic.kr/wall/food
      • twid.0000.b@spic.kr : #bbuser 태그가 붙음
      • twid.0000.e@spic.kr : #egguser 태그가 붙음
      • twid.0000.l@spic.kr : #landscape 태그가 붙음
      • twid.0000.p@spic.kr : #person 태그가 붙음
    • 덧글
      • 덧글, RT (리트윗) 선택
      • 트위터에 전송
      • 덧글을 스피커에서 삭제 하여도 트위터에는 삭제되지 않음
    • geotag 된 사진의 경우 지도와 함께 표시 - http://spic.kr/2wqYGB
      • 큰지도와 작은 지도
      • 지도 api 를 통하여 주소를 호출하여 출력
    • 플리커 연동 - http://spic.kr/config
      • 플리커 api 연동
      • 설정 되었을 경우 원본 사진을 전송
      • 백업 기능으로 사용 가능
    • 지도보기 : 위치정보 있는 사진을 지도에 표시 - http://spic.kr/map
  • 관련기사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
Social Media2010. 2. 2. 02:50
@estima7 - 임정욱, 보스톤, 미국의IT뉴스, 전직기자, 현직CEO

@kwang82 - 한경기획부장, 뉴스와오피니언의 조화, Must Follow

@masason - 孫正義, softbank, <나는 30년전 칩하나에 500억개 트랜지스터가 
          들어갈 것을 염두에 두고 사업을 시작했다.>

@ReadLead - 알고리즘의 시인, 이 사람의 통찰력을 읽어내면 돈된다. 

@Bobbyryu - 류한석, 니들이 SPC-1000을 알어? 서울에서본 IT 

@doax - IT블로거, 니들이 트위터를 알어? 트위터에서 본 한국과 한국의 IT

@oojoo - 김지현(남), 다음쩜넷의 Mobile본부장, 니들이 Mobile을 알어?

@jdpapa - 모토로이는 "귤이 회수를 건너 탱자가 된 것" 
         넥서스원은 "귤이 회수를 건너 한라봉이 된 것" 

@hongss - 생계형 인터뷰어, 프로 트위터러, 가끔 건질게 나온다

@hiconcep - 우리들병원 생명과학기술연구소장, 의사, 티스토리 파워블로거
           그의 컨셉 = 미래 + 혁신 + 의학 +  IT + 미래 + 트위터

@79k - 김지인, NCsoft, 수다, 직관력을 주로 이렇게 쓴다 - "이상하게 트위터한국
      사용자분들은 치킨을 유달리 좋아하는 유저가 많다! 그런의미에서 치킨회사
      의 기업트윗계정이 들어오면 좋은소통의 툴로 자리매김할수 있을것 같다!"

@hur - 허진호, 네오위즈대표, 한국인터넷기업협회대표, 꽤 괜찮은 느낌!

@xguru - 권정혁 : 개발자/트위터 매쉬업 컨설턴트/아이폰 개발자/초보요리사/쇼핑광

@seungwoonlee - aka igni, Samsung Mobile Platform Developer, 그러나 애플광팬

@boogab - 정순권, (주)나우콤 게임총괄PD, Good Twitterer Great Bloger

@sbroh - 노상범, 홍익세상CEO, 업무상 안드로이드를 잘알고 좋아 할 수 밖에 없는 사람 

@hollobit - 전종홍, ETRI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선임연구원, 한국모바일기술의 최전선

@emailer - 신재혁, 음... NCsoft 사람들은 일단 시끄럽다, Web Service 기획+디자인

@idreaming - 김동현, http://www.i-dreaming.com/2511705 <= 이 하나만으로도 널 사랑해!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